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 부산 이전 통해 북극항로 시대 선도 강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가 해수부 부산 이전의 당위성을 강조하며,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후보자는 해수부 부

산 이전이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하며 세종 행정도시 건설에도 저해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인사청문회에서는 해수부 부산 이전의 절차적 문제와 직원들의 반발, 그리고 후보자의 전문성 및 부산시장 출마설 등이 주요 쟁점으로 다뤄졌다.
후보자는 해수부 부산 이전이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하는 핵심 전략이라며, 이를 통해 한반도 남단에 새로운 수도권을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엔진을 장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세종에 머무르는 것보다 10배, 100배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해양수산 관련 기관 및 주요 해운기업 유치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여수, 광양, 부산, 울산, 경남, 포항을 잇는 지역의 발전을 견인하며,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사청문회에서 후보자는 내년 부산시장 출마 가능성에 대해 “장관이 된다면 할 일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고,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하겠다”라고 답변하며 즉답을 피했다.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이 불출마 선언을 요구하자 “세상 일을 단정적으로 말씀할 수는 없겠지 않겠냐”라고 답변하며 발을 뺐다. 또한, 부산 이전 대신 외청을 두자는 의견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검토는 해보지 않았지만, 외청보다는 부산 이전의 효과가 더 크다”고 답변했다.
후보자는 자신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활동 경험을 강조하며 부산 사람으로서 바다를 떠나 정치를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민주당 문대림 의원은 장관의 전문성은 정무적 능력과 정책 조정력, 현장 소통 능력, 국회 협력 능력 등이라며 후보자를 옹호했다. 한편 해수부 노조는 일방적인 부산 이전 추진에 반대하며 절차적인 문제 해결을 요구했다. 노조는 직원들의 교통, 교육, 주거 문제 해결 없이는 이전 동의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후보자는 노조와의 소통을 통해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주 대책을 포함한 논의를 진행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장관이 된다면 공직자들과의 소통을 대폭 강화하고 의견을 제대로 듣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단계적인 이전 방안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후보자는 해수부 부산 이전이 단순히 기관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전략이라며, 절차적 문제 해결과 직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